2025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전년 대비 전국 평균 3.65% 상승하였습니다. 이는 2024년 상승률인 1.52%보다 두 배 이상 높은 수치입니다 .(한국경제, 매일경제)
지역별 공시가격 변동률
- 서울: 7.86% 상승
- 경기: 3.16% 상승
- 인천: 2.51% 상승
- 세종: 3.28% 하락
- 대구: 2.90% 하락
- 광주: 2.06% 하락
- 부산: 1.66% 하락(한국경제)
서울의 경우, 서초구(11.63%), 강남구(11.19%), 송파구(10.04%) 등 고가 아파트 밀집 지역에서 공시가격 상승률이 높았습니다 .(매일경제)
재산세 및 보유세에 미치는 영향
공시가격 상승은 재산세 및 보유세 부담 증가로 이어졌습니다. 서울의 경우, 보유세(재산세+종합부동산세) 부담이 평균 15%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예를 들어, 아크로리버파크 전용 84㎡의 보유세는 전년 대비 약 14.5% 상승하여 1,323만 원으로 추정됩니다 .(한국경제, 매일경제, 연합뉴스)
또한, 종합부동산세 납부 대상인 1가구 1주택자는 전년 대비 약 5만 가구 증가하여 총 31만 8,308가구로 집계되었습니다 .(매일경제)
공시가격 현실화율
2025년에도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2020년 수준으로 동결되어, 공동주택의 시세반영률은 69%로 유지되었습니다 . 이는 공시가격 상승이 주로 시세 변동에 따른 결과임을 의미합니다.(네이버 블로그)
결론
2025년 공동주택 공시가격의 상승은 특히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서 두드러졌으며, 이에 따라 재산세 및 보유세 부담이 증가하였습니다. 공시가격 현실화율이 동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, 시세 상승이 세금 부담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습니다.(한국경제, 국가미래연구원)
답글 남기기